역사로 보는 세상
[조선시대사] 임진왜란의 배경, 전개과정, 결과 본문
728x90
728x90
- 임진왜란 이전 상황
일본 : 16C 무역 요구 증대
조선 : 통제 강화
1510 삼포왜란 - 1512 임신약조 | 중종 | 소빙기 재난 → 일본: 식량, 보온성 의류 수요 증가, 무역 중대 요구 → 조선 응하지 않음 |
1544 사량진왜변 | ||
1547 정미약조 | 명종 | 전국시대 혼란으로 지속 |
1555 을묘왜변 →제승방략 체제, 비변사 정식 관청화 |
cf) 제승방략 체제:
유사시 읍의 수령이 소속 군사이끌고 본진을 떠나 지정된 방위 지역에서 서울에서 파견된 경장, 그지역 병, 수사의 지휘를 받는 전술
→ 후방에 군사X, 1차 방어선 무너지면 막을 방법이 없음 (임진왜란의 원인이 되기도 함)
- 국내 상황
조선
: 국론분열, 군역제도 문란 → 국방력 약화
비변사 설치 (여진, 왜 침략에 대비하기 위해 설치, 을묘왜란 이후 정식관청화)
- 국외 상황
후금의 흥기, 일본 전국시대 종결
→ 도요토미 히데요시 "명 정벌하러 가니 길 비켜달라(정명가도)"
1) 국내 불만세력 외부로 관심돌리고자
2) 재난의 장기화로 인해 부족한 물자 → 수입품의 원산지 장악
→ 1592 조선 침공
728x90
- 임진왜란의 전개
일본 부산진, 동래성 침입 → 3갈래로 북상 충주: 신립 분투 but 실패 한양 이십여만에 육박 → 선조- 의주로 피난, 명에 지원 요청 → 이순신- 옥포, 사천, 당포, 한산도, 안골포 등 승리 → 제해권 장악, 보급로 차단, 전라도 곡창지대 지킴 + 의병(고경명, 조헌, 영규, 김천일 등) 게릴라 전술 활약 + 명의 원군 → 평양 탈환, 벽제관전투 대패 → 명의 평양 퇴각(→1594 화의 추진) / 행주산성- 권율 고립 →행주대첩 → 휴전협상 도중 조선- 훈련도감 설치, 속오법 실시, 화포개량, 조총제작 → 1527 화의 결렬 → 정유재란 발발: 명, 조선군 합동작전, 이순신 명량해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사망 →왜군 퇴각, 이순신 퇴각하는 왜군 격멸(노량해전 1598), 이순신 전사 |
728x90
- 임진왜란의 결과
피해
: 전국토 황폐화, 경작지 1/3로 줄어듦
인명피해
호적대장, 토지대장 소실
노비문서 불탐, 공명첩 발행, 납속책 → 신분제도 문란
문화재 손실(사고질록 전실(전주제외), 경복궁 불탐)
발달
: 절강병법 도입
비격진천뢰, 화차 등 신무기 도입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 > 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시대사] 광해군, 인조 대 정치 (1) | 2022.12.02 |
---|---|
[조선시대사] 비변사 (설치, 변천과정) (5) | 2022.12.01 |
[조선시대사] 인종- 선조 대 정치(을사사화, 붕당정치의 발생) (7) | 2022.10.16 |
[조선시대사] 연산군-중종 대 정치(무오사화, 갑자사화, 기묘사화) (5) | 2022.10.15 |
[조선시대사] 성종 이후 사림의 성장 (3) | 2022.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