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조선시대사] 임진왜란의 배경, 전개과정, 결과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조선시대사] 임진왜란의 배경, 전개과정, 결과

오늘내일모레 2022. 11. 30. 09:37
728x90
728x90

- 임진왜란 이전 상황

일본 : 16C 무역 요구 증대

조선 : 통제 강화

1510 삼포왜란 - 1512 임신약조 중종 소빙기 재난 
→ 일본: 식량, 보온성 의류 수요 증가, 무역 중대 요구
→ 조선 응하지 않음
1544 사량진왜변
1547 정미약조 명종 전국시대 혼란으로 지속 
1555 을묘왜변
→제승방략 체제, 비변사 정식 관청화


cf) 제승방략 체제:
유사시 읍의 수령이 소속 군사이끌고 본진을 떠나 지정된 방위 지역에서 서울에서 파견된 경장, 그지역 병, 수사의 지휘를 받는 전술
→ 후방에 군사X, 1차 방어선 무너지면 막을 방법이 없음 (임진왜란의 원인이 되기도 함)

 

 

- 국내 상황

조선

: 국론분열, 군역제도 문란 → 국방력 약화

  비변사 설치 (여진, 왜 침략에 대비하기 위해 설치, 을묘왜란 이후 정식관청화)

 

- 국외 상황

후금의 흥기, 일본 전국시대 종결

→ 도요토미 히데요시 "명 정벌하러 가니 길 비켜달라(정명가도)" 

 1) 국내 불만세력 외부로 관심돌리고자

 2) 재난의 장기화로 인해 부족한 물자 → 수입품의 원산지 장악

→ 1592 조선 침공

 

728x90

 

 

- 임진왜란의 전개


일본 부산진, 동래성 침입

→ 3갈래로 북상
충주: 신립 분투 but 실패
한양 이십여만에 육박

→ 선조- 의주로 피난, 명에 지원 요청

→ 이순신- 옥포, 사천, 당포, 한산도, 안골포 등 승리 → 제해권 장악, 보급로 차단, 전라도 곡창지대 지킴

    + 의병(고경명, 조헌, 영규, 김천일 등) 게릴라 전술 활약
    + 명의 원군 → 평양 탈환, 벽제관전투 대패
     → 명의 평양 퇴각(→1594 화의 추진) / 행주산성- 권율 고립 →행주대첩 

→ 휴전협상 도중 조선- 훈련도감 설치, 속오법 실시, 화포개량, 조총제작

→ 1527 화의 결렬

→ 정유재란 발발: 명, 조선군 합동작전, 이순신 명량해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사망
     →왜군 퇴각, 이순신 퇴각하는 왜군 격멸(노량해전 1598), 이순신 전사

 

728x90

- 임진왜란의 결과 

피해

: 전국토 황폐화, 경작지 1/3로 줄어듦

 인명피해

 호적대장, 토지대장 소실

 노비문서 불탐, 공명첩 발행, 납속책 → 신분제도 문란

 문화재 손실(사고질록 전실(전주제외), 경복궁 불탐)

 

발달

: 절강병법 도입

 비격진천뢰, 화차 등 신무기 도입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