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조선시대사] 연산군-중종 대 정치(무오사화, 갑자사화, 기묘사화) 본문
728x90
728x90
연산군(1494-1506)
- 사림, 훈구 모두 모두 누르고 언론 탄압 → 왕권강화
- 무오사화(1498), 갑자사화(1504)
- 신문고 폐지, 언문청 설치
cf) 언문청: 정음청- 문종 대 불경간행 목적으로 성격 변화 → 유신들 폐지 주장 → 단종 대 폐지, 연산군 대 다시 설치
→ 중종반정 이후 폐지
- 연산군의 폭정 → 중종반정(1506)
무오사화(1498)
: 김종직의 조의제문을 김일손이 사초로 제출한 것 구실(성종실록 편찬 시)
cf) 조의제문- 항우가 초나라 마지막 왕 의제 폐위한 것 애도 → 이에 빗대 세조의 왕위 승계 비판
→ 이극돈, 유자광 등 훈구세력이 김종직 부관참시, 김일손 처형
이는 홍문관의 언관화, 삼사의 기능이 증대되자 왕과 재상이 결속하여 제재 조치한 것
갑자사화(1504)
: 폐비윤씨의 폐비, 사사 문제
임사홍 등 궁중파 주도
→ 일부 훈구, 다수 사림 피해
이로써 연산군 친위 체제 구축
언론 탄압 통해 홍문관, 사간원 혁파, 경연중지
척신세력 대거 기용
728x90
중종(1506 중종반정- 1544)
- 조광조 중심 기호사림 세력 기용
- 기묘사화(1519)
- 삼포왜란(1510), 비변사 설치, 임신약조(제포만 개항, 세견선 25척, 세사미 100석)
- 군적수포제(1541)
- 백운동서원(1542)
- 사량진왜변(1544)
조광조
: 도학 정치 추구, 성학군주론
조광조의 정책
: 정몽주, 김굉필, 정여창 등 문묘 배향
현량과 실시- 학문과 덕행 뛰어난 인재 천거하여 대책만으로 시험한 제도
위훈 삭제
소격서 폐지
주자가례, 소학 보급
향약 실시
내수사 장리 폐지
언론 활성화
경연 강화
방납 폐단 시정
cf) 도학정치: 주자학의 별칭
조광조: 조선에서 실질적인 도학의 시발(조선 초 사장 숭상에 치중, 도학 경시), 도의국가 구현 목표
군주의 마음을 국가 통치의 관건으로 파악
군주에게 항상 경계할 것을 촉구
728x90
기묘사화(1519)
: 홍경주, 남곤, 심정 등이 조광조 세력 체포 구금(붕당결성하고 과격한 언사를 했다는 죄목)
이후 이들의 정책 혁파
현량과, 향약 폐지, 정국공신 다시 작위 회복
이는 언관권 지나치게 커짐에 따라 왕권, 재상권이 결탁하여 언관권에 반격한 사건이었음
이후 기묘사림의 소통 주장하는 유생들의 상소에 따라 유생 다시 등용함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 > 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시대사] 임진왜란의 배경, 전개과정, 결과 (6) | 2022.11.30 |
---|---|
[조선시대사] 인종- 선조 대 정치(을사사화, 붕당정치의 발생) (7) | 2022.10.16 |
[조선시대사] 성종 이후 사림의 성장 (3) | 2022.10.14 |
[조선시대사] 조선의 교통, 통신제도 (4) | 2022.10.06 |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군사제도의 변화 (1) | 2022.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