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조선시대사] 비변사 (설치, 변천과정)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조선시대사] 비변사 (설치, 변천과정)

오늘내일모레 2022. 12. 1. 10:47
728x90
728x90

을묘왜변(1555) 이후 상설 군사담당기관

임진왜란(1592) 계기로 조선 최고 중앙관청 역할 수행 

 

 

- 비변사 변천과정 

조선 초 도평의사사 해체, 의정부 설치
사병 혁파, 삼군부 설치

→ 국정, 군정 분리
의정부서사제- 대신들이 군사제도에도 영향력 행사
세조 6조 직계제
: 병조 - 군사문제, 국방문제 담당한 최고기관

삼군 → 오위 재편성, 오위도총부 설치 (오위- 병조의 속아문으로 들어감)

→ 6조직계제 하에서 병조, 오위도총부가 군사문제 합의, 처리

but 병조, 오위도총부- 장관직 문관 임명/ 의정부 서사제 폐지 → 군사문제 토의할 공간 없어짐
성종 변방 사정, 군사에 밝은 문무재상들을 '지변사 재상'을 정하고 대책 논의하도록 함
성종- 중종 변방의 소요 많아짐
→ 지변사 재상 모임을 제도화하여 군사담당 기구로 설치할 것 요구
16C 말
임진왜란 이후
비변사: 최고 관부로서 군사 업무와 여러 행정 부서의 직무 통할, 정치적 기능 수행
→ 전현직 대신, 6조 당상 모여 국가 중요 정책과 6조 업무 협의 : 비변사 체제 성립

인조반정 → 반정공신 비변사 중심으로 군사, 인사 재정 장악
정묘, 병자호란 → 비변사 체제 공고화
세도정치기 비변사 권한 막강
자천제, 상피제 해소 등
→ 대원군: 고종 2년 비변사 혁파 (정치: 의정부, 군사: 삼군부)
728x90
728x90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