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조선시대사] 비변사 (설치, 변천과정) 본문
728x90
728x90
을묘왜변(1555) 이후 상설 군사담당기관
임진왜란(1592) 계기로 조선 최고 중앙관청 역할 수행
- 비변사 변천과정
조선 초 | 도평의사사 해체, 의정부 설치 사병 혁파, 삼군부 설치 → 국정, 군정 분리 의정부서사제- 대신들이 군사제도에도 영향력 행사 |
세조 | 6조 직계제 : 병조 - 군사문제, 국방문제 담당한 최고기관 삼군 → 오위 재편성, 오위도총부 설치 (오위- 병조의 속아문으로 들어감) → 6조직계제 하에서 병조, 오위도총부가 군사문제 합의, 처리 but 병조, 오위도총부- 장관직 문관 임명/ 의정부 서사제 폐지 → 군사문제 토의할 공간 없어짐 |
성종 | 변방 사정, 군사에 밝은 문무재상들을 '지변사 재상'을 정하고 대책 논의하도록 함 |
성종- 중종 | 변방의 소요 많아짐 → 지변사 재상 모임을 제도화하여 군사담당 기구로 설치할 것 요구 |
16C 말 임진왜란 이후 |
비변사: 최고 관부로서 군사 업무와 여러 행정 부서의 직무 통할, 정치적 기능 수행 → 전현직 대신, 6조 당상 모여 국가 중요 정책과 6조 업무 협의 : 비변사 체제 성립 인조반정 → 반정공신 비변사 중심으로 군사, 인사 재정 장악 정묘, 병자호란 → 비변사 체제 공고화 |
세도정치기 | 비변사 권한 막강 자천제, 상피제 해소 등 → 대원군: 고종 2년 비변사 혁파 (정치: 의정부, 군사: 삼군부) |
728x90
728x90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 > 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시대사] 효종, 현종 대 정책(북벌정책, 예송논쟁) (7) | 2022.12.03 |
---|---|
[조선시대사] 광해군, 인조 대 정치 (1) | 2022.12.02 |
[조선시대사] 임진왜란의 배경, 전개과정, 결과 (6) | 2022.11.30 |
[조선시대사] 인종- 선조 대 정치(을사사화, 붕당정치의 발생) (7) | 2022.10.16 |
[조선시대사] 연산군-중종 대 정치(무오사화, 갑자사화, 기묘사화) (5) | 2022.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