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2022년도 9월 모의고사 한국사] 기출문제 풀이(16-20번까지) 본문

수능 한국사

[2022년도 9월 모의고사 한국사] 기출문제 풀이(16-20번까지)

오늘내일모레 2022. 9. 22. 11:48
728x90
728x90

16번 문항입니다

인물카드 중 이 인물이 한국독립당의 군대를 이끌었다는 내용이 나옵니다. 또 한국광복군의 총사령관으로 활동하였다는 힌트가 제시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이 인물이 지청천임을 알 수 있으며 (가) 단체는 한국독립군임을 알 수 있겠네요

 

① 귀주에서 거란군 물리침- 고려 강감찬

② 서울 진공작전 주도- 정미의병 관련 

③ 황토현 전투- 동학농민운동 관련

④ 청산리 전투- 김좌진 등 활약

⑤ 쌍성보 전투- 한국독립군

 

답은 5번입니다 

 

<더 알아보기>


- 한국독립군(지청천)
  : 중국 호로군과 연합
    1932 쌍성보, 사도하자 전투, 동경성 전투
    1933 대전자령전투
    
    cf) 윤봉길 의거  → 임정: 중국 중앙군관학교에 한인 특별반 책임자 필요 → 지청천 임정에 합류


- 조선혁명군(양세봉)
  : 1932 영릉가, 1933 흥경성
     양세봉- 일본이 매수한 마적 두목의 함정→ 살해 
      이후 역량 약화

출처: https://hiherstory.tistory.com/183 [역사로 보는 세상:티스토리]

 

 

17번 문항입니다

내용을 살펴보니 금융실명제와 관련된 내용이 나옵니다. 금융실명제는 김영삼 정부 시기 시행됩니다.

 

① 지방 자치 단체장 선거- 김영삼정부

② 내각 책임제 개헌- 4.19혁명 이후

③ 암태도 소작 쟁의- 1923년

④ 12.12 군사 반란- 1979년, 전두환 등 신군부

⑤ 영선사 파견- 1881년 조선 고종/ 청나라에 파견

 

답은 1번입니다

 

<더 알아보기>

김영삼 정부 

: 5.16 군사정변 이후 최초의 민간정부

금융실명제 도입- 불법적 금융거래를 규제하기 위해 금융거래할때 실제 거래자 이름을 사용하도록 함

지방자치제의 전면 실시

역사 바로세우기 진행: 전두환, 노태우 전직 대통령 구속

국제 통화기금의 긴급 구제 금융 요청

 

 

18번 문항입니다

1,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10년간 시행하였다는 이야기가 나오므로 박정희 정부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① 남북 기본 합의서  체결- 1991 노태우 정부

② 남북 유엔 동시 가입- 1991 노태우정부

③ 7.4 남북 공동 성명 채택- 1972 박정희 정부/ 자주, 평화, 민족 대단결 원칙 발표

④ 10. 4 남북 공동 선언 참여- 2007 노무현 정부

⑤  남북정상회담 최초 개최- 2000 김대중 정부 

 

답은 3번입니다

 

<더 알아보기>

남북 화해, 협력을 위한 노력

박정희 정부 - 7.4남북공동성명(자주, 평화, 민족대단결의 통일원칙)
- 남북조절위원회가 통일 실무 회담 진행
전두환 정부 - 남북 이산가족 상봉, 예술 공연단 교환 방문
노태우 정부 -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한반도 비핵화 공동 선언' 발표
- 남북 기본 합의서 채택: 서로 체제 인정, 상호 불가침 합의
김대중 정부 - 햇볕정책 추진, 금강산 관광사업(1998)
- 제1차 남북정상회담(6.15 남북 공동 선언 발표, 2000) →개성공단, 경의선 철도 복구사업 추진
노무현 정부 - 제2차 남북정상회담(2007) → 10.4 남북공동선언
문재인 정부  - 남북정상회담 →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 

 

출처: https://hiherstory.tistory.com/97 [역사로 보는 세상:티스토리]

 

728x90

19번 문항입니다.

(가) 인물의 정보를 읽어보니 신한청년당 조직, 임시정부 외무부 차장 역임을 제시하고 있으며, 광복 전후 조선건국동맹,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결성을 이끈 인물이란 것을 보여줍니다. 힌트로  (가) 인물은 여운형임을 알 수 있습니다

 

① 삼국유사 저술- 고려 일연

② 위화도 회군 단행- 고려 말 이성계

③ 수선사 결사 제창- 고려 지눌

④ 좌우합작위원회 주도- 여운형

⑤ 남한만의 단독 정부 수립 주장- 이승만 

 

답은 4번입니다

 

<더 알아보기>

조선건국준비위원회(1945)

-여운형, 안재홍 중심의 좌우연합체

- 전국에 지부 설치, 치안대 조직(치안, 행정 담당)

  이후 중앙 조직을 정부 형태로 개편, 지부를 인민위원회로 개편

- 미군정의 인정 받지 못함, 우익세력의 이탈로 해체

 

 

 

20번 문항입니다

6.10 국민대회, 이한열의 죽음 등을 통해 해당 사건은 6월항쟁(1987)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발췌개헌안 - 이승만정부(1952)

4.19혁명- 1960

3선개헌안 통과- 박정희정부(1969)

5.18 민주화운동- 신군부 정권 장악 이후(1980)

4.13 호헌조치- 전두환 정부의 대통령 직선제 거부(1987)

민주자유당 창당- 노태우정부

 

4.13 호헌조치 이후 대학생들의 시위가 이어지게 되고 이한열이 최루탄 피격을 당하면서 전국적인 민주화 요구 시위(6월 항쟁)로 이어집니다. 그러므로 6월 항쟁은 마 시기에 해당되며 답은 5번입니다.  

 

 

<더 알아보기> 

민주화운동 답 찾기 키워드: 

민주화운동과 관련하여 답을 찾을 수 있는 키워드들은 확실한 편입니다.

민주화 과정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면 좋겠지만,

수능 한국사 문제에서 답을 찾기 위해서라면 이 정도 키워드들을 이해하면 문제는 쉽게 풀 수 있습니다.  

 

4.19혁명- 3.15부정선거/ 김주열/ 이승만의 하야

5.18민주화운동- 신군부의 쿠데타/ 신군부의 폭력적 진압/ 시민군

6월 항쟁- 이한열/ 박종철 고문 치사사건/ 6.29선언 / 직선제 개헌

출처: https://hiherstory.tistory.com/82 [역사로 보는 세상:티스토리]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