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조선시대사] 조선 세조의 정책 본문
728x90
728x90
폰으로 보면 정렬이 많이 깨집니다.
컴퓨터나 패드로 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세조(1455-1468)
1453 계유정난
: 권람, 한명회 등과 밀회, 쿠데타
영의정, 이 병조 판서, 내외병마도통사 겸임 → 실권장악
→ 쿠데타: 이징옥의 난 야기(1453)
: 함길도 도절제사 이징옥 파직, 자기 파 인물 파견 → 이징옥 대금황제 칭함, 여진세력 포섭
1455 세조 등극
사육신 사건 - 1456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이개, 유응부, 유성원 - 단종 북위하고자 → 집현전 중심 반대파 처벌 → 이후 집편전 폐쇄, 경연 중지 |
세조의 정책
1) 6조 직계제 시행
2) 군사: 5위제 확립, 보법 수립(국방력 평준화 통해 국방력 강화), 진관체제 시행
3) 경제: 과전법 폐지, 직전제 시행
: 세조 집권 시인하고 그 아래에서 관리로 봉사하는 이에게만 생활 기반 보장, 국가 재정 강화
4) 호패제도 강화- 면리제, 오가작동제
5) 불교 진흥(간경도감)
6) 내수사 설치
7) 인지의, 규형 발명
8) 편찬: 국조보감, 팔도지리지, 동국통람, 사시찬요, 정관정요주
9) 종친, 공신 등용 → '훈구' 세력 형성
cf) 1467 이시애의 난:
부국강병책 → 지방세력 불만, 유향소 중심 반정부 운동 → 함길도 수령 그 지역 인물로 임명 요구 → 길주에서 반란
728x90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 > 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시대사] 조선의 중앙정치체제(통치기구, 관직, 중앙관제 특징) (6) | 2022.08.23 |
---|---|
[조선시대사] 조선 예종, 성종의 정책 (3) | 2022.08.20 |
[조선시대사] 조선 세종, 문종, 단종의 정책 (8) | 2022.08.18 |
[조선시대사] 조선 태종의 정책 (3) | 2022.08.17 |
[조선시대사] 조선 태조 이성계의 정책 (4) | 2022.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