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고려시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무신정권기 민란의 발생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고려시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무신정권기 민란의 발생

오늘내일모레 2022. 5. 29. 10:07
728x90
728x90

폰으로 보면 정렬이 많이 깨집니다
컴퓨터나 패드로 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오늘은 고려시대 무신정권기 발생한 민란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정리 팁) 아래처럼 지도를 그려 각 민란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무신정권기 민란의 발생 지도

 

무신정권기 민란의 원인:

신분제 동요, 무신정권기 국가 지배 체제 붕괴(농장의 확대, 수탈 강화) → 봉기 발생

- 서적: '국경 지대'의 '군사적 기반'위에서 봉기

- 남적: 농민생활의 불안에서 야기. 순수한 민란의 성격 

 

728x90

1173

- 김보당의 난:

동북면 병마사 김보당 '무신토벌, 왕의 복위' 내세워 병사 일으킴

동북면 한언국 병사 일으킴

장순석 거제도에 있는 왕 모셔와 계림에 살도록 

다음달 안북 도호부에서 김보당 잡히면서 실패

 

1174

- 귀법사 승려 100여명 이의방 죽이고 개경 진출 →이의방의 보복

- 서경유수 조위총의 난

 

1176 

- 공주 명학소의 난 (망이, 망소이)

 

1193

- 운문 김사미, 초전 효심의 난

cf) 양민의 경우 경제적 원인으로 봉기함

 

 

+천민의 난: 신분 해방 목표로 함

대표적) 만적의 난(1198): 사람이면 누구나 공경대부될 수 있다고 주장. 신분 차별에 항거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