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고려시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무신정권 내용정리(무신정권기 연표, 최씨정권, 무신정권의 영향) 본문
[고려시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무신정권 내용정리(무신정권기 연표, 최씨정권, 무신정권의 영향)
오늘내일모레 2022. 5. 28. 15:01폰으로 보면 정렬이 많이 깨집니다
컴퓨터나 패드로 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오늘은 고려시대 무신정권기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정리 팁) 먼저 정리하기 앞서 무신정권기 집권자에 따라 연표를 정리해주었습니다.
또 각 무신들의 집권 시기에 일어난 사건들을 다른 글씨로 표시해주었습니다.
무신정권기
형성기 | 정중부-이의민 사적 무력에 의지(문객, 가동 등), 독자적 권력기반 없었음 → 중방 통해 정치. 공식적 정부, 관직 권위 필요(무신집정의 지위 확고하지 않았기 때문) |
확립기 | 최씨정권(최충헌, 최우, 최항, 최의) 국가의 사적 성격 강화 교정도감, 정방, 서방, 도방, 삼별초 선종과 연결 도모 진주 식읍으로 받음, 대토지 겸병(경제적 기반) |
붕괴기 | 김준, 임연, 임유무 |
정중부(1170-1179):
이고: 이의방에게 피살(1171)
이의방: 딸 태자비로 삼아 대장군 되어 권세 누림-정중부에게 피살(1174)
정중부: 평장사, 문하시중되어 홀로 권세-경대승에게 피살(1178)
1173 김보당의 난
1174 조위총의 난, 귀법사 승려의 난
1176 망이, 망소이의 난
경대승(1179-1183):
무신의 횡포 개혁하고자 → 무신의 미움 받음
신변 안전을 위해 도방 설치(그러나 요절)
이의민(1183-1196):
천한 출신. 무신란에 참가. 김보당, 조위총 타도에 공을 세움. 경대승 죽자 권력 잡음
판병부사로 횡포와 축재. 최충헌에게 피살
1193 김사미 효심의 난
최충헌(1196-1219):
이의민 아들이 최충수(동생) 물품 빼앗자 살해
이의민 관련 무신 소탕. 최충수 제거
명종에게 봉사 10조 올림. 다음해 명종 폐위. 신종 옹립. 희종 폐위. 강종 옹립
경상도 진주 식읍으로 받음
→ 흥녕부 설치(진주 지방 관리 위한 것), 진강후에 봉해짐(무신정권의 형식적인 공인)
교정도감 설치(1209): 국정 총괄하는 최고 정치 기관(교정별감)
도방 재건(1200) 사병기관
1198 만적의 난
1202 이비, 패좌의 난(신라 부흥)
1207 최광수의 난(고구려 부흥)
최우(1219-1249):
정방 설치(1225): 인사권 장악 → 사적 충성 유도(최씨 정권 몰락 후 국가기관화. 지인방/ 차지방→ 창왕: 상서사)
서방 설치(1227): 문사들이 24시간 호위하며 보좌
야별초 설치, 확대 개편
삼별초: 좌, 우별초, 신의군으로 구성. 순수한 사병집단인 도방과 달리 공적 성격 가졌으나 사병 노릇함
몽골 침입(1231)
강화도 천도(1232)
상정고금예문 간행(1234)
항약구금방 간행(1236)
1237 이연년의 난(백제 부흥)
최항(1249-1256)
최의(1256-1257)
김준
임연, 임유무-반몽정책 지속(고려 조정의 환도 명 거부 → 임유무가 홍순규 등에 의해 주륙)
무신정권의 영향
1. 문벌귀족의 붕괴: 관료 체제로 전환되는 계기
2. 왕권 약화, 국가 통제력 약화
3. 전시과 체제 붕괴: 대토지 소유 증가
4. 민생 피폐, 신분제 동요: 천한 출신 입정자의 등장 → 하층민의 사회의식 성장
5. 신앙결사운동, 조계종 개창, 선종 발달
6. 문화침체: 은둔적 시조 문학, 경기체가 유행, 패관문학 발달
7. 민족주체적 문화 발달
무신정권의 한계
정권 빼앗기 위한 경쟁에 몰두
사회 개혁에 소홀
무신정권과 가마쿠라 막부의 차이?
전통적 군신관계에 입각한 정부 조직 그대로 이용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무신정권기 통치자마다 정리하였고 각 통치시기에 있었던 사건은 다른 색으로 정리하였습니다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 > 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시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몽골의 침입 (5) | 2022.05.30 |
---|---|
[고려시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무신정권기 민란의 발생 (2) | 2022.05.29 |
[고려시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무신정변(배경, 내용, 결과) (8) | 2022.05.12 |
[고려시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고려시대 중기 정치사(인종 대), 이자겸의 난, 묘청의 난 (6) | 2022.05.10 |
[고려시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고려 중기 정치사(순종-예종까지) (6) | 2022.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