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고려시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무신정변(배경, 내용, 결과)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고려시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무신정변(배경, 내용, 결과)

오늘내일모레 2022. 5. 12. 10:10
728x90
728x90

폰으로 보면 정렬이 많이 깨집니다
컴퓨터나 패드로 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오늘은 고려시대 무신정변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의종(1146-1170)

- 생원시 시행, 최윤의 <<고금상정례>
- 1170 무신정변 

 

*무신정변

배경
- 지배층의 정치적 분열(귀족 사회 내부 모순), 의종의 실정
- 문무 차별에 따른 무신들의 불만 :
  경정전시과 무신 대우 개선, 7재 중 무학재 설치- 무신들의 지위 상승
  그러나 실제 지위는 이에 따라가지 못하고 차별받는 신세였음
- 하급 군인들의 불만:
  군인전 제대로 지급받지 못함, 낮은 대우, 각종 잡역 동원

내용
의종(1170) 왕 화평재에서 밤새 문관과 시주詩酒 즐김
그러나 호종한 무신에게 음식 주지 않아 분노를 삼
→ 견종행수 이의방, 이고가 상장군 정중부에게 토로

다음날 보현원 수박희 경기 - 대장군 이소응이 문신 한뢰에게 뺨맞고 맷돌 밑에 떨어지는 모욕겪음
→ '쿠데타' : 정중부의 난=경인의 난
문신, 대소신료, 숙관 몰살
국왕 거제도로, 태자 진도로 내쫓음
왕의 아우 익양공 호 왕으로 삼음
 
결과 무신정권 100년 지속(1170-1270)
귀족사회의 붕괴 
728x90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