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이슬람의 눈으로 본 세계사 요약 13편(개혁운동) 본문
<<이슬람의 눈으로 본 세계사>> 타밈 안사리 저
이 책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책을 읽고 요약한 내용입니다.
개혁운동(이슬람력 1150-1336년/ 서기 1737-1918년)
18세기 무슬림 세계- 개혁운동 이어짐
유럽 세계의 유입 → 이슬람 세계 불안 고조 → 이슬람 부흥 위한 개혁 운동으로 이어짐
개혁운동의 방향
1. 무슬림이 달라져야 한다. (이슬람은 문제 없음): 서구의 영향력 차단, 이슬람 원래 형태대로 유지해야 한다.
2. 서구가 옳다: 서구에 따라 이슬람 근대화해야 한다.
3. 이슬람은 진실하지만 서구에서 배울 점이 있다: 신앙, 역사, 전통은 강화하고 과학, 기술은 서구의 것 수용해야 한다.
1. 무슬림이 달라져야 한다
- 대표적: 와하비야 운동
- 와하비야운동:
압둘 와하브- 이븐 타이미야 영향(이븐 타이미야: 몽골의 침입 → 초기 이슬람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
'초기 무슬림 살았던 방시긍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
시골 돌아다니며 사원 파괴(우상 숭배 금지), 엄격하게 한발리 율법 적용
→ 다리야로 도망.
→ 무함마드 이븐 사우드가 압둘 와하브 수용
무함마드 이븐 사우드: 아라비아 통합 목표
이븐 사우드는 와하브를 최고 종교 권력자로 인정, 와하브는 이븐 사우드를 정치적 지도자로 인정
→ 사우디- 와하브 동맹 결성
→ 아라비아 베두인 부족 통합
→ 이븐 사우드 죽은 후 아들 압둘 아지즈 계승, 아지즈 이븐 사우드는 와하브 죽자 와하브 계승자 주장
→ 카르발라(시아파 중심지) 침략, 메카, 메디나 침략
→ 소아시아 공략
→ 오스만 제국: 이집트 총독 무함마드 알리 시켜 아라비아 공격 → 메카, 메디나 다시 오스만 지배하
→ 이븐 사우드, 계승자 짓밟음
→그러나 여전히 와하브 세력 추종자에 의해 살아남음.
와하비야 운동의 교의
1. 타우히드: 통합의 중요성(신이 모든 것을 아우른다)
2. 시르크의 오류: 사람이 신성성 담을 수 없다
→ 인생의 목적: 율법 따르는 것.
이상적인 이슬람 공동체 훼방놓고자 하는 것(변절자, 위선자, 혁신자)은 이슬람의 적이므로 맞서싸워야 할 대상
(대표적: 시아파, 수피즘 등)
2. 서구가 옳다
- 대표적: 알리가르 운동(세속 근대주의)
- 인도:
사이이드 아마드: 1817년생
그의 어머니 독실한 무슬림 → 무슬림 공동체에 대한 충성/ 아버지 동인도 회사에서 일함
지위 높고 근대적이며 서구에 경도된 집안 출신
→ 무슬림 공동체에 대한 진심어린 충성심과 영국 문화 높이 사는 마음 가짐
영국 방문 이후 인도가 영국에 비해 뒤쳐진 점 인지
→ 근대적 사고 통해 신앙을 윤리 체계로 재고해야 한다는 주장
→ 과학협회(영국 방문 전 설립) → 대학으로 발전: 유럽의 학문, 근대 학문 교육 → 세속 근대화운동의 씨앗이 됨
- 오스만:
탄지마트: 유럽식 학교, 유럽의 행정 기술 도입, 유럽식 복식 장려
3. 이슬람은 진실하지만, 서구에서 배울 점이 있다.
- 대표적: 이슬람식 근대주의
사이이드 자말루디니 아프간: 인도여행: 반영국적 정서 목격
→ 아프가니스탄 행: 아프간 왕의 신뢰 얻음, 근대화 필요성 주장
→ 소아시아: 콘스탄티노플대학에서 강의, 근대적 학문 배워야하지만 이슬람 자체 통해 근대화 가능함 주장
→ 이집트 행: 이슬람식 근대화 설파
이슬람식 민주주의 기초
- 슈라: 후계자 뽑기 윈한 모임(직접 민주주의 형태)
- 이즈마: 합의 뜻함. 교리 논점에 대해 합의
→ 대중의 지지 얻지 못하면 이슬람 통치자 적법하지 않음 주장
→ 이집트 왕의 분노를 사 쫓겨남
→ 인도 행: 이미 알리가르 운동 성행. 알리가르 운동에 대해 비판적 입장 표함
→ 파리 행
<견고한 연대> 학술지 발간: 범이슬람주의 신조 구축.
당시 일어나고 있는 분쟁들(아제르바이잔 둘러싼 이란과 러시아, 크림반도 둘러싼 오스만과 러시아 분쟁, 은행 대출 문제 둘러싼 영국과 이집트, 곡물 판매 둘러싼 프랑스 알제리, 국경 문제 두고 영국과 인도와 아프가니스탄 분쟁 등)은 사실상 이슬람과 서구의 대결로 파악
→ 미국 → 런던
→우즈베키스탄 행: 쿠란 출판, 보급 → 이슬람 부흥 끌어냄. 무슬림 유럽 경쟁 구도 이용하여 독립지대 개척해야 한다는 주장 펼침
→ 이란 행: 사법부 개혁 추진.
왕이 식민 권력에 경제 이권 판매한 점 비판
대표적: 담배 이권 판매(이에 영국이 이란 내 담배 생산, 판매 통제) → 자말루딘: 담배 불매운동 벌임 →쫓겨남
→ 이스탄불 행: 이즈타하드(자유로운 사고)가 이슬람의 기본 요소라고 주장. 하지만 이는 쿠란, 하디스에 기초를 둠.
그러면서 무슬림의 잘못은 서구의 교육과 관습 받아들이면서 서구의 과학 등한시 함이라 말함
→그러므로 반대로 서구의 과학 받아들이되, 교육, 사회적 관습은 문닫아야 한다고 주장
이후 이란에서 나시루딘 왕 암살되자 이란 정부가 자말루딘 넘길 것 주장 → 오스만 술탄 이를 거부하고 자말루딘 감금 → 자말루딘 병에 걸려 사망
하지만 자말루딘의 사상은 제자들을 통해 무슬림 세계에 영향 미침
- 무함마드 아브두: 알 아즈하르 대학교 학장이자 이집트 최고의 종교학자가 됨. 자말루딘의 사상 체계화
- 자글룰: 와프두 정당 설립, 이 정당은 이집트 독립을 위한 민족주의 운동으로 진화
- 다른 제자: 수단의 종교적 지도자, 구세주 '마흐디'로서 영국에 저항
- 이란 담배불매운동 → 활동가 다수 배출, 20세기 입헌주의 운동 구축
- 아프간 지식인 타르지: 아프간 왕자의 스승이 됨. 그 왕이 아프간 영국으로부터 독립시키고 아프가니스탄 군주국가 선포함.
→이들 제자들 무슬림의 산업과 기술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
자말루딘의 영향은 무슬림 세계 구석구석에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음.
'역사 책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슬람의 눈으로 본 세계사 요약 15편(세속 근대주의자의 부상) (8) | 2022.05.25 |
---|---|
이슬람의 눈으로 본 세계사 요약 14편(산업, 혁명, 민족주의) (6) | 2022.05.21 |
이슬람의 눈으로 본 세계사 요약 12편(서구가 동쪽으로 오다) (5) | 2022.05.19 |
이슬람의 눈으로 본 세계사 요약 11편(한편 유럽에서는) (7) | 2022.05.18 |
이슬람의 눈으로 본 세계사 요약 10편(부활) (7) | 2022.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