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삼국과 일본의 교류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삼국과 일본의 교류

오늘내일모레 2022. 4. 13. 10:26
728x90
728x90

폰으로 보면 정렬이 많이 깨집니다
컴퓨터나 패드로 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오늘은 일본에 전파된 삼국의 문화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당시 문화는 중국→ 삼국 → 왜로 전파되었습니다.

중국의 선진 문물에 대해 삼국이 자주적으로 수용하여 왜에 전수하는 방식이었습니다.

 

1. 백제→ 왜 

4C

- 근초고왕

아직기: 일본 태자 한자 교육

왕인: 일본 태자 천자문, 논어 교육

 

6C 

- 무령왕: 5경박사 단양이, 고안무 일본에 보냄

- 성왕: 노리사치계 일본에 파견하여 불경, 불상 전달/ 5경박사, 역박사, 의박사

 

7C

관륵: 역, 천문지리, 둔갑방술, 책 전파

 

⇒ 문화 전파 → 일본 고류사 미륵보살 반가사유상, 일본 호류사 백제 관음상

 

 

2. 고구려→ 왜 

7C

담징: 종이, 먹 제조법, 호류사 벽화

혜자: 쇼토쿠 태자 스승

혜관: 삼론종 전파

⇒ 문화 전파 → 다카마스 고분벽화, 고구려 수산리 고분벽화 유사성 

 

 

3. 신라→ 왜

제방축조기술, 조선 기술 전달 (한인의 연못)

 

 

⇒ 삼국의 문화: 6C 야마토 정권 성립, 7C 나라 아스카 문화 형성에 큰 영향

728x90

 

4. 통일신라 → 왜

강수, 설총, 원효 등 유교와 불교 문화  ⇒ 하쿠호 문화 성립에 기여

(심상의 화엄사상 → 일본 화엄 사상에 영향)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