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통일신라 10부- 통일신라의 문화 본문
폰으로 보면 정렬이 많이 깨집니다
컴퓨터나 패드로 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오늘은 통일신라의 문화에 대해 유학, 역사편찬, 불교, 기술학, 건축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유학
- 교육기관 : 유교 교양에 충실한 고급 관료와 행정실무에 밝은 하급 관료 양성 목적
신문왕 국학(682) → 경덕왕 태학 → 혜공왕 국학
cf) 문제점: 교육기관과 연계할 관리선발제도가 없었음
- 독서삼품과의 시행(788):
원성왕 대 실시
상, 중, 하품, 특채 존재
유학 공부 수준에 따라 관리 임용에 참고
하지만 골품제때문에 힘 쓰지 못함.
- 통일신라의 유학자: 강수(외교문서), 설총(화왕계), 최치원(계원필경, 제왕연대력, 중산복기) 등
6두품 출신 많았음(이들 골품사회의 신분 제약을 학문적 능력으로 극복하고자 함)
도당유학생 중 빈공과에 급제하기도 함(김운경, 최치원 등)
2. 역사 편찬:
김대문- 화랑세기, 고승전, 한산기, 계림잡전 등
3. 불교:
- 교종 5교 성립
: 계율종(자장, 통도사), 열반종(보덕, 경복사), 화엄종(의상, 부석사), 법성종(원효, 분황사), 법상종(진표, 금산사)
의상 | - 화엄사상: 모든 존재가 상호 의존적 →조화/원융통해 피지배층, 지배층 분열 지양, 진골 귀족의 환영 - 화엄종 개창 - 일즉다 다즉일 "하나가 전체요, 전체가 하나다" - 지엄에게 수학(feat. 당 법장) - 화엄일승법계도 정립 → 고려 초 균여에게로 이어짐 |
원측 | - 현장에게 신新 유식 수학 - 서명 학파 성립: 신 유식, 구 유식 포용, 여러 사상 섭렵 (규기- 자은학파) - 티벳 불교에 영향, 태현에 의해 법상종 성립 → 고려 중기 귀족 불교로 부흥 |
원효 | - 일심사상 → 종교적 대립, 분파의식 극복 → 민중 중심의 화합 - 대승기신론소, 십문화쟁론, 금강삼매경론 - 화쟁사상: 모순, 대립하는 것처럼 보이는 불교 사상을 하나의 원리로 회통 - 정토사상 전도(현세의 고통에서 벗어나 내세에 극락왕생하기를 비는 내세 신앙), 나무아미타불 → 불교의 대중화(인간 모두 평등하다는 기본 원칙) ⇒ 불교의 종합화, 불교의 민중화, 불교의 대중화 이끎. |
- 신라 말 선종 유행- 지방 호족
도당 유학 승려 많았음, 인도 구법(혜초- 왕오천축국전)
4. 기술학:
목판 인쇄술, 제지술 발달 -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석가탑에서 나옴, 현존하는 최고 목판인쇄술
금속주조술- 신라 금관, 성덕대왕신종(경덕왕), 상원사종(성덕왕)
5. 건축:
- 불국사:
경덕왕 대 김대성 창건 공사 주도
전실과 후실
후실 중앙에 본존불상 둘레벽에 11면 관음, 4보살, 10나한 배치전실에 금강역사, 인왕 양각
- 그 외: 다보탑, 석가탑, 감은사지 3층석탑
- 승탑: 선종의 유행, 팔각 원당형, 지방 호족의 정치적 역량 반영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 > 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후삼국시대(견훤, 궁예, 왕건) (7) | 2022.04.14 |
---|---|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삼국과 일본의 교류 (6) | 2022.04.13 |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통일신라 9부- 통일신라의 경제 (8) | 2022.04.08 |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통일신라 8부- 신라 하대 특징 (5) | 2022.04.08 |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통일신라 7부-신라 하대의 역사( 혜공왕부터 경순왕까지) (9) | 2022.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