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발해 4부- 발해의 문화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발해 4부- 발해의 문화

오늘내일모레 2022. 4. 6. 10:38
728x90
728x90

폰으로 보면 정렬이 많이 깨집니다
컴퓨터나 패드로 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오늘은 발해의 문화를 유학, 불교, 무덤, 건축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유학 - 주자감, 도당유학생 존재
불교 - 왕실, 귀족 중심으로 성행
- 고구려 양식 계승한 불상- 이불병좌상
무덤
- 흙무덤, 돌무덤, 벽돌무덤 등

- 흙무덤: 발해 이전부터 유행- 발해 초까지 지속됨. 토착적 양식
- 돌무덤: 고구려적인 석실봉토분(돌방봉토무덤) 주류. 모줄임양식
- 벽돌무덤: 당의 영향. 수 적음. 발해 중기 이후 왕실 일부에서 수용 

- 정혜공주 묘(문왕 둘째): 돌방무덤. 모줄임양식(말각조정식). 돌사자상/ 고구려적 전통
- 정효공주 묘(문왕 넷째): 벽돌무덤. 모줄임양식. 4˙6 변려체. 벽화/ 고구려 문화 + 당의 문화
cf) 삼릉 2호 고분: 상경성 부근. 돌방무덤. 고임천정. 벽화

건축 - 상경: 장안(주작대로. 외성) 본떠 만듬
- 궁궐, 사원- 온돌장치/ 궁궐터의 벽돌, 기와무늬- 고구려의 영향/ 석등
문학 - 대표적 시인: 양태사- 야청도의성

 

※ 발해의 고구려 계승 의식

1. 무왕- 일본에 보낸 국서: 스스로 고려국 칭함

2. 고구려 보장왕 손자: 스스로 발해인이라 칭함

3. 5경제, 8각 석등, 이불병좌상, 기와, 온돌, 봉토분, 말각천장

 

※ 발해의 당 계승 의식

1. 제도: 3성 6부제, 10위, 지방제, 관료제, 관복제

2. 벽돌무덤: 정혜공주묘비, 삼채 그릇, 상경성(장방형, 주작대로)

 

발해의 말갈 계승 의식: 지방 사회에 말갈계 토착 문화 많았음

1. 토광묘(흙무덤)

2. 무덤 위에 탑 쌓음

728x90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