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 신라 4부(진덕여왕부터 문무왕까지)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 신라 4부(진덕여왕부터 문무왕까지)

오늘내일모레 2022. 3. 7. 10:28
728x90
728x90

중등 임용고시 한국사 공부 노트 신라 4부입니다
진덕여왕부터 문무왕까지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통일신라 내용은 따로 정리할 예정입니다.

폰으로 보면 정렬이 많이 깨집니다
컴퓨터나 패드로 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진덕(647-654) - 중국 제도 수용: 의관제 중국식, 중국연호 

: 647 김유신, 김춘추 진덕 옹립

  648 나당연합

  651 품주 개편 - 집사부- 중시(기밀)/ 창부(재정) + 이방부 설치(좌이방부)

 

무열왕(654-661)

: 660 백제 멸망

 

문무왕(661-681)

: 663 계림도독부 설치: 문무왕과 부여융 취리산에서 회맹하도록(665)- 신라가 백제 땅에 대한 지배권 포기하도록

  668 고구려 멸망

  670 부여륭의 82성 공취

  671 신라 당 격파/ 사비성 함락 → 소부리주 설치 

  672 당 황해도 이북으로 몰아냄

  675 당 토번 완전 평정 신라 원정군 편성

        매소성- 이근행(675 양주)/ 기벌포- 설인귀(676 금강하구 소부리주)

  676 당군 요동으로 요동으로 밀어냄 (안동도호부-신성으로 이전/ 웅진도독부- 만주 건안성으로 이전)

  ⇒ 삼국통일

728x90

☆삼국통일 의의:

1) 민족 최초의 통일

2) 당군 자주적으로 몰아냄

3) 고구려, 백제의 문화 수용하면서 민족문화의 토대 마련

 

삼국 통일의 한계:

1) 대동강- 원산만 이남에 영토 한정

2) 외세의 개입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특히 삼국통일의 과정을 순서대로 잘 파악해두셔야 하겠습니다

 

진덕여왕부터 문무왕까지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삼국통일의 의의와 한계를 주목해서 공부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