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서양중세사] 중세의 문화(교회, 교단, 교부철학, 스콜라철학, 보편논쟁)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서양사 임용고시 노트

[서양중세사] 중세의 문화(교회, 교단, 교부철학, 스콜라철학, 보편논쟁)

오늘내일모레 2024. 6. 10. 19:57
728x90
728x90

- 중세의 문화(교회/ 대학/ 문학, 미술, 법, 역사)

: 기조 - 로마+ 게르만+ 크리스트교의 성격 

 

: 10세기 문화적 암흑기/ 카롤링거 르네상스

  십자군원정으로 이슬람 문화와 접촉 + 고대 그리스 철학자 저술 발견 + 상업, 도시 발달 

  →12, 13세기 만발

728x90

 

 

1. 교회(교단, 철학)

 

- 교단: 

10세기 클뤼니 수도원 개혁운동

 

12세기 시토교단

: 베르나르 노력으로 크게 증가 

  농경지 기증 거부/ 직접 황무지 개간, 영국의 양모 원료 생산지 확산에 기여

 

13세기 탁발교단 성립

: 프란체스코 교단

- 자연찬미, 개인 인격 통한 구원 강조/ 인노켄티우스 3세가 인가

  교단 확장되자 그리스도 모방 훈련화, 절대 빈곤 규칙 완화

 

: 도미니쿠스 교단

- 알비 이단 번성 → 이단 개종 목적/ 인노켄티우스 3세 수도원 설립 권한 부여, 호노리오 3세 인가

  가난, 설교에 전념/ '검은 옷 입은 거지 성직자'

 

: 프란체스코, 도미니쿠스 교단- 13-14세기 대학 발전에 기여, 15세기 쇠퇴

 

 

728x90

2. 철학

교부철학 중세 초(2- 7,8세기)

교부: 교회 정통 교리 설명  → 신도들의 모범이 된 사람 뜻함

교부철학
: 고대 그리스도교를 이성에 의해 파악
  그리스 철학 연구, 스토아 흡수
  초월적 세계관과 교회의 우월성 주장


:대표적 교부 철학자- 아우구스티누스 <<신국론>>
  : 신국은 지상의 역사과정 속에 투영
    인간의 역사 과정- 신의 섭리 구현
     →  인간: 가톨릭 교회 통해 신국으로 갈 수 있음 
           교회 그 실현을 사명으로 하는 기관임

                
스콜라 철학 중세 신학 발전시킨 세력- 대학교수  → 신학: 학교(schola)에서 하는 학문  → 스콜라주의


스콜라 철학
: 그리스도교 교리 철학적 설명, 체계화


1) 신의 존재 증명
- 성 안셀모: "신앙 위해 지식 구하는 것 아닌 알기 위해 믿는다"
   → 신앙이 이해를 구해야한다고 주장
        하느님의 존재 증명하고자 함


2) 보편논쟁
- 실재론 realism : 보편적 개념이 실재, 감각에 의해 알려진 개체 실제X
                            대표적 사상가 : 안셀모/ 플라톤 계승

- 유명론 nominalism: 참다운 실재는 개체, 보편적 개념은 명칭에 불과함
                                  대표적 사상가: 오캄, 스코투스, 로스켈라누스/ 아리스토텔레스 계승

13세기까지 실재론 우세
13-14세기 유명론 득세(특히 오캄파)

 → 아벨라르:
보편적인 것은 실재하지만 개별적인 것을 떠나 따로 존재하지 않음
보편적 개념은 추상의 산물

<긍정과 부정>: 근본 교리 158개 질의 문답 모음/ 변증법 체계화


 → 피터 롬바르드: 
전통 신앙에 입각해 주석 붙임

<전거집> :신앙 교육이 기본 교과서가 됨




13세기 후반 스콜라 철학 집대성한 사람이 토마스 아퀴나스


-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상:
아리스토텔레스에 가까운 실재론 주장
보편적 존재는 있음  동시에 개인 속에 내재
자연적 진리 있음(감각, 경험 통해 도달) 동시에 초자연적 진리도 있음(신의 은총)
인간의 목적 행복 달성인 동시에 신의 세계 인식
국가 인간에게 자연스러운 동시에 인간은 초자연적 목적도 있으므로 교회 존재


- 저서: <신학대전>
: 600조항 이상의 문제 제기, 이를 논의하는데 만개넘는 반대의견 검토/ 변증법
명제 공식화, 반대 학설 제시, 반대 입장 오류 입증, 자시의 논거 제시, 처음 지적한 이견 논박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