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고대사/그리스] 펠로폰네소스전쟁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서양사 임용고시 노트

[고대사/그리스] 펠로폰네소스전쟁

오늘내일모레 2023. 6. 21. 11:46
728x90
728x90

펠로폰네소스전쟁(B.C431-04)

 

배경 - 아테네의 패권 장악 → 코린트 장악, 서부 지중해로 진출하고자

- 코린트(펠로폰네소스 동맹시)의 식민지 코르키라가 아테네와 동맹하고자
  →동맹성립하면 아테네가 서지중해 해상권 장악 
전개 - 1기:
  아테네의 우위
  페스트(페리클레스 등 사망) but 10년간 전쟁 지속
  B.C 421 나키아스의 화평 (아테네 클레온- 스파르타 브라시디스 함께 전사 → 휴전에 합의)

- 2기: 
  B.C 413 알키비아데스 시칠리아 원정 → 실패 

  아테네 - 과두파 득세, 400인회 구성 (→ 민주파 반발)

- 3기:
  스파르타 페르시아에 원군 요청 → 스파르타 졌지만 아테네 유능한 장수 잃음
  B.C 405 헬레스폰트 입구에서 아테네 패배 
결과 아테네 해외재산 포기, 장성 파괴, 스파르타에 종속
폴리스 간 대립 → 그리스 전체 쇠퇴

 

 

- 펠로폰네소스 전쟁 이후

아테네: 30인 참주 과두제 → 민주정치 회복

 

스파르타: 강압적 통치, 고액의 공납금 요구 → 반발(아테네 중심 제2차 해상동맹/ 테네 중심 보이오티아 폴리스 동맹)

 

테베: 에파미논다스 - 스파르타 격퇴, 메세니아 해방/ 에파미논다스 전사 이후 패권 사라짐

 

→ B.C 4C 후반 마케도니아에 굴복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