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조선시대사] 조선 후기 예술과 새로운 사상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조선시대사] 조선 후기 예술과 새로운 사상

오늘내일모레 2022. 12. 28. 10:06
728x90
728x90
판소리 18세기 등장
구체적 이야기- 창, 아니리, 발림
감정 표현에 솔직
관객과의 소통 추가 → 서민 문화

12마당 → 5마당만 전래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적벽가> <수궁가>

19세기 신채호 판소리 정리
탈춤 도시상인, 중간계층의 지원 → 성행
지배층, 승려 등 부패 풍자


→ 판소리나 탈춤: 상품 유통 경제 활성화와 함께 성장
당시 사회적 모순 비판, 서민의식 자각
문학 서민층까지 확대

한글소설: 허균 <홍길동전>/ 심청전, 춘향전, 토끼전, 장화홍련전

사설시조: 격식에 구애받지 않음/ 남녀간의 사랑, 현실에 대한 비판
 
+ 한문학: 정약용의 한시(삼정의 문란),
박지원 <양반전> <호질> <허생전> <민옹전> :양반사회 비판, 현실 혁신 주장

+ 중인 '시사' 형성 
그림 산수화: 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 우리 자연을 사실적으로 표현, 중국 남종 북종화법 고루 수용
정선<인왕제색도> <금강전도>

풍속화: 18세기 후반 생활전경, 일상모습 표현
김홍도 <밭갈이> <추수> <씨름> <서당> → 18세기 후반 사회모습 파악
신윤복 <월하정인> <쌍검대무> <단오풍정> → 양반, 부녀자의 생활 묘사, 남녀 사이 치정


+ 강세황(서양기법 반영), 장승업(강렬한 필법, 채색법), 민화 유행
서예 동국진체 이광사, 추사법 김정희


cf) 문체반정운동: 정조 문풍복고 운동
조선적 색채가 강한 문체 유행 비판
역대 고문의 문체로 복귀 주장
노론 벽화 견제 목적(노론- 진경산수화, 조선풍 유행)
건축 사원
17세기- 건축규모 큼(불교의 사회적 지위 향상, 양반 지주층의 경제 성장), 다층 건물, 내부 하나로 연결/ 금산사 미륵전, 화엄사 각황전, 법주사 팔상전 등
새로운 
18세기- 장식성 강함(부농, 상인의 지원)/ 논산 쌍계사, 부안 개암사, 안성 석남사 


성곽- 수원화성(종합 계획도시의 면모/ 방어, 공격 용이), 19세기 경복궁 근정전, 경회루
공예 백자 널리 사용/ 청화백자 유행/ 서민- 옹기 많이 사용 

→ 조선 후기 문화: '민중' 주체로 하는 새로운 영역 개척/ 지배층의 문화는 세속화, 서민문화에 침식 

 

 

* 새로운 사상

- 예언사상: 정치, 사회적 성격/ 왕조의 멸망, 전쟁 도래, 은신 피난처 예시/ <<정감록>>
- 무격신앙: 개인, 구복적 성격
- 천주교: 초기 서양 문물의 하나로 간주, 신앙X
  → 영조 말 신앙으로 수용, 정조 진산사건, 정조 신유박해
     + 황사영 백서사건(북경에 있는 프랑스 주교에게 조선에의 신앙의 자유 보장해달라는 서신) 


- 동학:
유교 사상 극복, 천주교에 대항하고자 유, 불, 선 결합
인내천 사상 + 천운순환론 + 도덕론 → 천운에의 순종, 천도의 합치를 통해 누구나 군자 될수 있다 →<<동경대전>>
현세 구복 → <<용담유사>>
보국안민, 제병장생 제창 → 경상도 일대 확산 → 정부 사교로 규정하고 금압 (철종- 최제우 처형 (혹세무민죄목))
동학농민운동의 기반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