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조선시대사] 조선 후기 예술과 새로운 사상 본문
728x90
728x90
판소리 | 18세기 등장 구체적 이야기- 창, 아니리, 발림 감정 표현에 솔직 관객과의 소통 추가 → 서민 문화 12마당 → 5마당만 전래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적벽가> <수궁가> 19세기 신채호 판소리 정리 |
탈춤 | 도시상인, 중간계층의 지원 → 성행 지배층, 승려 등 부패 풍자 → 판소리나 탈춤: 상품 유통 경제 활성화와 함께 성장 당시 사회적 모순 비판, 서민의식 자각 |
문학 | 서민층까지 확대 한글소설: 허균 <홍길동전>/ 심청전, 춘향전, 토끼전, 장화홍련전 사설시조: 격식에 구애받지 않음/ 남녀간의 사랑, 현실에 대한 비판 + 한문학: 정약용의 한시(삼정의 문란), 박지원 <양반전> <호질> <허생전> <민옹전> :양반사회 비판, 현실 혁신 주장 + 중인 '시사' 형성 |
그림 | 산수화: 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 우리 자연을 사실적으로 표현, 중국 남종 북종화법 고루 수용 정선<인왕제색도> <금강전도> 풍속화: 18세기 후반 생활전경, 일상모습 표현 김홍도 <밭갈이> <추수> <씨름> <서당> → 18세기 후반 사회모습 파악 신윤복 <월하정인> <쌍검대무> <단오풍정> → 양반, 부녀자의 생활 묘사, 남녀 사이 치정 + 강세황(서양기법 반영), 장승업(강렬한 필법, 채색법), 민화 유행 |
서예 | 동국진체 이광사, 추사법 김정희 cf) 문체반정운동: 정조 문풍복고 운동 조선적 색채가 강한 문체 유행 비판 역대 고문의 문체로 복귀 주장 노론 벽화 견제 목적(노론- 진경산수화, 조선풍 유행) |
건축 | 사원 17세기- 건축규모 큼(불교의 사회적 지위 향상, 양반 지주층의 경제 성장), 다층 건물, 내부 하나로 연결/ 금산사 미륵전, 화엄사 각황전, 법주사 팔상전 등 새로운 18세기- 장식성 강함(부농, 상인의 지원)/ 논산 쌍계사, 부안 개암사, 안성 석남사 성곽- 수원화성(종합 계획도시의 면모/ 방어, 공격 용이), 19세기 경복궁 근정전, 경회루 |
공예 | 백자 널리 사용/ 청화백자 유행/ 서민- 옹기 많이 사용 |
→ 조선 후기 문화: '민중' 주체로 하는 새로운 영역 개척/ 지배층의 문화는 세속화, 서민문화에 침식
* 새로운 사상
- 예언사상: 정치, 사회적 성격/ 왕조의 멸망, 전쟁 도래, 은신 피난처 예시/ <<정감록>>
- 무격신앙: 개인, 구복적 성격
- 천주교: 초기 서양 문물의 하나로 간주, 신앙X
→ 영조 말 신앙으로 수용, 정조 진산사건, 정조 신유박해
+ 황사영 백서사건(북경에 있는 프랑스 주교에게 조선에의 신앙의 자유 보장해달라는 서신)
- 동학:
유교 사상 극복, 천주교에 대항하고자 유, 불, 선 결합
인내천 사상 + 천운순환론 + 도덕론 → 천운에의 순종, 천도의 합치를 통해 누구나 군자 될수 있다 →<<동경대전>>
현세 구복 → <<용담유사>>
보국안민, 제병장생 제창 → 경상도 일대 확산 → 정부 사교로 규정하고 금압 (철종- 최제우 처형 (혹세무민죄목))
동학농민운동의 기반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 > 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탑재 완료 (1) | 2023.05.02 |
---|---|
[조선시대사] 조선 후기 문화(성리학의 한계, 과학기술) (3) | 2022.12.27 |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음악, 문학 (4) | 2022.12.26 |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불교, 도교, 미술 (3) | 2022.12.25 |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성리학의 발전 (4) | 2022.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