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조선시대사] 조선 태조 이성계의 정책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조선시대사] 조선 태조 이성계의 정책

오늘내일모레 2022. 8. 16. 10:18
728x90
728x90

폰으로 보면 정렬이 많이 깨집니다.

컴퓨터나 패드로 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태조 (1392-1398)

1) 조선 개창

2) 의흥친군위 설치: 국왕 친위병 조직 →의흥삼군부 확대개편 

  의흥친군위-좌위, 우위 + 2군 6위 →3군 10위 통솔 : 10위 3군으로 나누어 종친, 대신 절제사로 임명통할 

  → 도평의사사, 중추원 약화

       도평의사사: 정무만 관장, 중요문제 국왕이 하명하여 시행하도록 함

 

+ 지방 - 시위패→ 진무소에 소속 : 절도사들의 사적 영속관계였던 시위패 규제

 

3) 공신 책봉, 토지, 노비 하사

4) 관리선발제도:

  입관보리법(문, 무, 의, 역, 음양, 이과, 역과: 직무 중심으로 지배층 재편성, 능력중심의 인재 등용 제도 지향/ 정도전)

   → 이후 의과, 이과, 역과, 음양과 - 잡과, 취재

 

5) 지방: 1393 관찰사제도 복구 : 각 도에 전임행정기관 배치, 지방 수령 6품이상 참상관 → 지방에 대한 통제력 강화

            수령 파견되지 않는 행정구역 혁파, 군현제 재조정

6) 대외: 명- 왕위 승인, 국호(화녕, 조선) 골라달라는 요청

  → 명: 여진 유민 쇄환문제, 세공문제로 인해 인장, 고명 보내지 않음. 이후 태종 대 해결

 

7) 1394 한양 천도

8) 도첩제도, 사원의 면세 혜택 폐지

 

9) 왕자의 난 

- 1398 1차 왕자의 난: 정도전, 남은 등 - 방석 태자로 책봉 → 이방원- 방번, 방석 위시한 이들 세력 제거

  → 둘째 방과 - 정종 즉위

 

-1400 2차 왕자의 난: 셋째 반란 - 박포 (1차 왕자의 난에서 1등 공신으로 책봉되지 않음) → 방원에게 도전 BUT 실패

1차, 2차 왕자의 난: 왕위 계승 둘러싼 왕자들의 싸움, 방원에 의한 개국공신 세력 제거과정 

   

728x90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