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조선시대사] 조선 건국 세력, 조선시대 성격(근세설, 중세설) 본문
728x90
728x90
폰으로 보면 정렬이 많이 깨집니다.
컴퓨터나 패드로 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조선 건국세력
- 사대부
온건파 사대부 | 정몽주, 이색, 길재 급진적 개혁에 부정적 중소 지주의 이익 안정 추구 사민 士民(사민지배), 전호 기본 |
혁명파 사대부 | 정도전, 조준, 남은 토지개혁 수반한 급진적 개혁 공익우선(사개념 축소, 공개념 확대) 관민 官民(관민지배), 자작농 기본 부국강병 추진 성리학 뿐 아니라 한당 유학, 훈고학, 불교, 도교, 풍수지리 포용 |
- 조선시대 근세설: 근세사회로의 발전
1. 정치, 사회의 변화: 중앙집권적 관료 사회 - 실력 위주의 과거제 바탕으로 한 양반 관료 사회로 이행 - 신분제도: 귀족→양반, 농민의 지위 상승, 천민의 양인화(향, 부곡, 소 소멸) 2. 사상면에서의 변화: 주자학-정치이념으로 채용(cf. 고려- 유교, 불교 병립) 3. 경제면에서의 변화: 전시과 체제 →과전법 체제, 양민 자작농의 증가 4. 국민국가의 터전 마련: - 대내: 한글 창제, 단군신화 해석 →민족의식 - 대외: 국경선 확대 → 국토 의식 성장 5. 민본적 농업국가 |
- 조선시대 중세설:
지주제, 신분제 변화 없이 사회의 신분구조, 지주제, 관료제 유교가 서로 관련되면서 하나의 사회 체제 형성
728x90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 > 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시대사] 조선 태종의 정책 (3) | 2022.08.17 |
---|---|
[조선시대사] 조선 태조 이성계의 정책 (4) | 2022.08.16 |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왕별 연표 정리 (2) | 2022.08.13 |
[조선시대사] 조선 건국 과정 (3) | 2022.08.12 |
[고려시대사] 고려시대 문화(과학기술-천문학, 의학, 인쇄술, 화약 등) (2) | 2022.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