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고려시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고려의 지방행정제도(경기 5도 양계/ 고려시대 지방제도 특징) 본문
[고려시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고려의 지방행정제도(경기 5도 양계/ 고려시대 지방제도 특징)
오늘내일모레 2022. 5. 4. 10:10폰으로 보면 정렬이 많이 깨집니다
컴퓨터나 패드로 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오늘은 고려시대의 지방행정제도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고려시대의 지방행정제도: 경기, 양계, 5도/ 3경 4도호부 8목/ 군,현, 진(진: 군사특수지역)/ 촌(토착 호장층 지배)
1) 고려시대 지방행정제도의 변천
건국초 군사특별지역에 외관 파견
조세, 수취, 운송 → 금유, 조장(조세 징수, 보관), 전운사(개경에 운반)
성종 2년(983) 12목 설치 + 향리직제 마련 + 공수전(지방 관청의 경비 위해 주, 현, 향, 부곡, 역, 관에 지급된 토지) 지급
성종 12년(993) 거란의 침입
성종 14년(995) 개주→ 개성부(경중 5부+ 경기 구분), 10도 설치, 12목에 12군과 절도사 파견, 도단련사, 단련사, 지사 설치, 도호부사, 방어사 설치
목종 8년(1005) 12절도사, 4도호부사, 동서북계 방어진사, 현령 진장 유지/ 도단련사, 단련사, 지사 폐지
현종 3년(1012) 절도사 폐지, 5도호부사, 75도안무사제
현종 9년(1018) 안무사 폐지, 4도호부, 8목, 56지주군사, 28진장, 20현령 설치
⇒ 군사적인 절도사 체제 붕괴 → 민사적인 목, 지주군사, 현령 체제 개편
2) 고려의 지방행정제도 (5도, 양계/군현/ 특수행정구역)
5도: 서해도, 양광도, 교주도, 전라도, 경상도
5도 성립 이전 중간기구: 계수관
- 3, 4품을 장, 차관으로 하는 경, 도호부, 목의 수령이나 그들이 관할하는 행정구획
- 5도 안찰사제 성립하면서 역할 크게 약화됨
성종 10도 설치(당 태종의 10도 모방)
예종 5도 윤곽
- 도 장관: 안찰사→ 안령사(충렬) → 제찰사(충선) →안령사(충숙)
안찰사- 수령 평가, 민생 파악, 형벌 감옥 관장, 조부수납, 군사기능
(한계: 전임관으로 외직 아니라 경직 가진해 차사로 보냄, 임기 6개월, 5-6품관의 미관微官)
→ 한계 고려 말 해소
창왕: 도관찰출척사로 개칭/ 관질도 양부대신
공양왕: 전임관으로 격식바꾸고 임기 1년, 사무기관으로 경력사 설치
- 병마사: 양계 파견/ 성종 때 기록에 나타남/ 현종 외직으로 기능 (점차 도제화)
- 주군, 주현: 지방관 파견/ 속군, 속현: 촌주 자치
주현보다 속현이 더 많았음(중앙집권력 미약 의미), 향리의 영향력 높았음
→ 예종: 감무 파견(유민 방지 목적)
- 특수행정구역 있었음- 향, 부곡(농업), 소(수송업): 국학입학 금지, 과거응시 금지, 이후 고려말 소멸
- 향리 견제:
성종 대 향직개정: 당대등 →호장, 병부 →사병, 창부 →사창/ 현종 대 향리수, 공복 규격화/ 문종 대 향리승리규정 9단계
사심관제, 기인제
⇒ 고려의 지방제도의 특징
- 불완전한 이원적 조직: 민정 중심의 5도와 군정 중심의 양계 이원적 구조
- 중앙의 지방 통제력 약함: 주현보다 속현 많았음/ 외관 파견 기준-군현의 크기 아니라 나말여초 호족 세력권과 관련
- 중앙행정기구의 미숙성: 계수관-지방 수령과 중앙관청 연력
안찰사: 중간행정관 아님, 중앙행정관으로 지방 순시, 감찰
cf) 민정, 군정 전권 장악한 관찰사와 격이 다름
- 특수행정구역의 광범위한 존재
3) 고려 말 변화
- 안찰사 → 안렴사(충렬) → 제찰사(충선) → 안렴사(충숙) →도관찰출척사(창왕)- 양부대신으로 임명
- 양계에 안렴사 파견(남도화), 경기 좌우로 확대 구분, 도관찰출척사 설치 → 일원화
- 고려 말 첨설직, 동정직 등 품관이 고향에서 재지기반 마련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 > 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시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고려의 관리채용 제도(과거, 음서) (6) | 2022.05.06 |
---|---|
[고려시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고려의 군사제도(2군 6위, 주진군 주현군, 만호제) (5) | 2022.05.05 |
[고려시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고려의 중앙관리제도 (4) | 2022.04.30 |
[고려시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고려시대 성종 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정리 (5) | 2022.04.29 |
[고려시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혜종부터 경종까지 (4) | 2022.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