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공부 노트: 동북공정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고대사] 중등 임용 역사 공부 노트: 동북공정

오늘내일모레 2022. 2. 28. 11:39
728x90
728x90

동북공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폰으로 보면 정렬이 많이 깨집니다
컴퓨터나 패드로 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동북공정이란? 동북변강 역사와 현상계열 연구 공정

목적:
-중국의 소수민족을 '통일적 다국가론'에 편입시키려는 맹목적 애국주의의 소산
-현재 중국 영토에서 발생한 역사는 모두 중국의 역사라는 입장(일사양용론)
cf) 일사양용론: 현재 중국 영토에 있었던 역사를 중국 역사로 봄
고구려에 있어 만주 수도기에는 중국사, 평양 수도기에는 한국사로 간주
역사 영역론: 중국 최대 팽창기 영토 내의 역사를 모두 중국 역사로 봄.

-소수 민족 가운데 역사의식 강한 조선족에 대한 견제와 통일 후 간도에 대한 영토권 요구를 차단하려는 의도


쟁점내용

  중국의 입장 한국의 입장
고구려 종족 - 주 역사서인 <<일주서>> 왕화편에 나오는 고이高夷를 고구려의 조상으로 설정

- '고구려가 신하의 구가로서 서주西周에 조공을 바쳤다고 주장
-<<일주서>> 신뢰할만한 사료 아님

- 고구려 건국세력은 압록강 일대의 예맥 계열
조공 - 중국의 지방정권으로 조공바침 -중국에 조공바친 신라, 백제, 일본의 역사는 중국사라 주장하지 않음.

-고구려 독자적 천하관 존재(중원고구려비)
평양 천도 후
고구려 역사
- 과거 중국 영토 내에 존재했던 나라의 역사이므로 그 역사는 중국사에 해당

-평양이 낙랑군 영역 내에 존재
- 현재 영토 내 역사를 중국사로 간주하는 기존 주장과 모순됨
수당전쟁 - 소수 민족을 통제하기 위한 중국 통일 전쟁 - 동북아 일대에서 생존권 보전, 패권 추구하는 고구려의 대륙정책과 중국 중심의 일원적 질서를 재편하려는 수당제국의 세계정책 간 대립
고구려유민의
거취
- 왕족, 귀족 중국으로 들어감. 이들 한족과 융화됨. - 자진해서 간 것이 아니라 당에 의해 강제 이주됨

- 다수의 고구려 유민 신라로 편입되거나 발해 건국에 참여함. 또 돌궐 등 유목민에 편입됨.
고려와 연계성 - 고구려와 고려 별개 국가

- 건국시기 차이, 구성원 다름(신라인이 많음), 건국자 언급되지 않음
- 나라 이름 고구려에서 비롯된 것

- 서경을 양대 수도로 삼을 정도

- 발해: 고구려 계승국 → 고려 발해 유민들을 고구려의 후손이라고 받아줌.
728x90



이번 회차에는 동북공정의 내용, 중국이 동북공정을 주장하는 이유, 동북공정 관련 쟁점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중국과 한국 간 동북공정 쟁점 내용이 비교되도록 정리해봅시다 :)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