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고려시대사] 고려시대 문화(문학, 건축, 미술)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고려시대사] 고려시대 문화(문학, 건축, 미술)

오늘내일모레 2022. 8. 10. 10:20
728x90
728x90

폰으로 보면 정렬이 많이 깨집니다.

컴퓨터나 패드로 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고려시대 문화- 유교/ 불교/ 도교/ 문학, 역사, 미술(건축 포함), 기술로 나누어 정리해보았습니다

오늘은 고려시대 문화 가운데 문학, 건축, 미술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고려시대 문학

문학

- 한문학: 문치주의 → 관리들의 필수 교양/ 독자적 모습→ 당 시문, 송 산문 숭상

- 향가: 광종- 균여 <보현십원가>

- 수필: 이인조 <파한집>, 임춘 <국순전> -12세기 무신집권기 현실도피적 성향 
           이규보, 최자 <보한집> 형식보다 내용 치중, 현실 표현- 최씨정권

- 경기체가: 신진사대부 창작/ <한림별곡>, <관동별곡> 등/ 유교 정신과 자연의 아름다움

- 패관문학: 설화형식, 현실비판/ 이규보 <백운소설>, 이제현 <역옹패설>

- 가전체소설: 이규보<국선생전>, 이곡 <죽부인전>

- 한시: 유학자 중심 <어부가>

- 속요: <청산별곡> <가시리> <쌍화점> <정읍사> <처용가> 등

 

고려시대 건축

고려 전기 - 주심포양식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예산 수덕사 대웅전
고려 후기- 다포식 건물: 황해도 사리원 성불사 웅진전, 함경남도 안변 석왕사 웅진전


석탑: 다각다층탑 많음, 석탑의 몸체 받치는 받침 보편화
- 고려 전기: 개성 불일사 5층석탑, 무량사 5층 석탑, 현화사 7층 석탑
- 고려 후기: 경천사 10층 석탑(원 석탑 본뜬 것)- 경복궁에 있음 (cf. 조선시대 원각사 10층석탑- 탑골공원)

승탑: 고달사지 승탑, 지광국사 현묘탑 등

불상: 시기, 지역에 따라 독특성
광주 춘궁리 철불(대형철불),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 안동 이천동 석불, 부석사 소조 아미타여래 좌상 
728x90

고려시대 미술

고려청자- 11세기 독자적 경지, 12세기 상감법 개발, 13세기까지 주류
분청사기- 원에서 북방 가마 기술 도입

금속공예: 불교 도구 중심 발전, 은입사기술

나전칠기: 옻칠한 바탕에 자개붙여 무늬 나타냄

글씨: 전기- 구양순체/ 후기 조맹부의 송설체

회화: 도화원 소속 전문화원/ 공민왕-천산대렵도(원대 북화 영향)/ 문인, 승려의 문인화/ 고려 후기 신진사대부 시화일치론

불화: 혜허- 관음보살도/ 사경화(경전 표지 그림)

음악: 아악(송에서 수입된 대성악이 궁중음악됨), 향악(우리 음악이 당악 영향)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