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2022학년도 수능 한국사] 짝수형 기출문제 풀이(4-6번) 본문
2022학년도 수능 한국사 4-6번까지 풀이하겠습니다.
4번 문제는 고려시대 무신정변과 관련된 문제입니다. 문제의 힌트는 의종, 정중부, 이의방 등이 있습니다.
지문을 읽어보면 의종이 문신들과 술을 마시고 시를 읊으며 유흥을 즐기는 상황에서 정중부, 이의방 등이 "문신들은 배불리 먹고 마시는데 우리들은 굶주리고 피곤합니다"라고 말합니다. 무신들의 불만이 발생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들이 거사를 계획하였다는 말이 나옵니다.
그러므로 무신정변을 생각해야하며 답은 2번이 됩니다.
① 예송의 전개- 조선
② 무신정변의 발생- 고려
③ 훈구와 사림의 대립- 조선
④ 강화도 조약의 체결- 조선 1876
⑤ 개화정책에 대한 반발 -조선
5번 문제는 고려시대 원 간섭기에 대한 문제입니다. 다루가치, 관직 이름, 복식 격하 등이 힌트입니다.
① 원의 강요로 공녀가 징발되었다.- 고려 원간섭기
② 지방에 서원이 설립되었다.- 조선
③ 아관파천이 단행되었다.- 1896
④ 골품제가 실시되었다.- 신라
⑤ 지계가 발급되었다.- 광무개혁
그러므로 답은 5번입니다
<더알아보기>
원간섭기의 특징
고려 왕의 즉위는 원의 통제와 승인 아래 이루어짐
고려의 관제와 왕실의 호칭도 격하됨.
고려의 왕들은 원의 공주와 결혼해야 했음.
원은 고려의 영토 일부를 빼앗아 쌍성총관부, 동녕부 등 설치하여 직접 지배함
일본 정벌을 위해 군인과 물자 등을 징발하였으며 정동행성을 설치하여 내정간섭함.
원은 고려에 공녀와 환관을 요구하고 금,은,인삼,매, 말 등을 징발함
6번 문항입니다. 최승로의 시무28조 내용이 나오고 왕이 이에 따라 불교행사를 축소하고 12목에 지방관을 파견하는 등 유교통치 이념에 따라 통치체제를 강화하였다는 말이 나오네요. 그러면 왕은 고려 성종이겠죠
① 척화비를 세웠다.- 흥선대원군
② 대동법을 시행하였다.- 조선 광해군 때부터 시행
③ 국자감을 정비하였다.- 고려 성종
④ 대가야를 병합하였다.- 신라 진흥왕
⑤ 장용영을 설치하였다.- 조선 정조
성종의 정책을 이해하고 국자감이 고려의 교육기관임을 알면 풀 수 있습니다.
<더 알아보기>
성종의 정책: 최승로의 시무 28조 수용, 유교이념 바탕으로 중앙통치 체제 정비, 지방관 파견(12목)
각 나라의 최고교육기관:
고구려- 태학
통일신라- 국학
발해- 주자감
고려- 국자감( 거꾸로 하면 감자국 )
조선- 성균관
2022학년도 수능 한국사 4-6번까지 풀이였습니다.
'수능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도 9월 모평 한국사] 기출문제 풀이 1-3번까지 (0) | 2022.02.28 |
---|---|
[2022학년도 수능 한국사] 짝수형 기출문제 풀이(16-20번) (18) | 2022.02.27 |
[2022학년도 수능 한국사] 짝수형 기출문제 풀이(11-15번) (4) | 2022.02.27 |
[2022학년도 수능 한국사] 짝수형 기출문제 풀이(7번-10번) (0) | 2022.02.27 |
[2022학년도 수능 한국사] 짝수형 기출문제 풀이(1-3번) (1) | 2022.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