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세상

[고려시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고려 태조의 정책 본문

역사 임용고시 준비 노트/한국사 임용고시 노트

[고려시대사] 중등 임용 역사 단권화 노트: 고려 태조의 정책

오늘내일모레 2022. 4. 23. 10:06
728x90
728x90

오늘은 고려시대 태조의 정책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고려를 중세사회로의 전환으로 보는 이유

- 정치: 지방세력인 호족의 성장

- 사상: 선종 수용, 유교를 정치이념으로 수용

- 사회: 농업생산력의 향상(자영 농민층 성장), 신라 하대 농민 반란으로 농민의식 성장

 

 

1. 건국:

918 왕건- 고려 개창, 연호 천수, 수도 송악으로 천도 

936 후삼국 통일(일선군 전투, 탄현전투)

※ 후삼국 통일의 의의

1) 한민족이 완전하게 정치, 사회, 문화적 통합을 이루었다는 점(옛 삼국 출신 뿐 아니라 발해인까지 포용)

2) 외세의 간섭없이 민족 통일 이룩 

 

2. 태조의 정책

1) 호족 포섭 정책

- 건국 초기 지방 호족 통제 어려웠음(환선길, 이흔암의 반란)

- 사성정책: 토성, 왕성 하사- 의제가족적 관계

- 혼인정책: 유력 호족과 혼인(29명의 부인을 둠)

- 공신책봉

- 역분전 지급: 선악과 공로의 대소에 따라 차등 지급(충성도 기준으로 논공행상)

- 기인, 사심관(부호장 밑으로 관리 임명권, 치안통제) 제도: 지방호족 통제, 호족 자제 중앙관리화

 

2) 농민생활 안정- 사회 혼란의 원인: 가혹한 고대적 조세제도에서 비롯된 경제 모순이라 파악함

- 취민유도 정신 → 조세 수확량의 1/10 수취

- 흑창 설치, 노비속량 등

728x90

3) 북진정책

- 평양 서경으로 삼고 북진의 전진 기지로 개발/ 분사제도

- 청천강- 영흥에 이르는 국경선 확보

 

4) 기타

- 계백료서, 정계 : 군주에 대한 신하들의 도리 규정  → 질서 정비

- 훈요 10조: 후대 왕들에게 정책 방향 제시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728x90
300x250